클라우드 전환 시대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전략: 데이터 분석·활용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> 데이터기반행정

클라우드 전환 시대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전략: 데이터 분석·활용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에이오디컨설팅
댓글 0건 조회 125회 작성일 25-02-26 12:05

본문

○ 데이터기반행정의 등장과 확산

-최근 세계 각국은 데이터, 정보, 지식과 같은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공공정책 수립 및 공공서비스 제공을 통해 내부적으로는 일하는 방식을 효율화하고 외부적으로는 대국민 정책・서비스의 품질 및 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 중

∙미국: 「증거기반 정책수립 기본법」과 「증거기반 정책수립 위원회」를 바탕으로 신규 데이터 수집을 통한 정책 결정 노력을 강화하는 방안과 기존 데이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

∙영국: 「더 나은 통계와 의사결정: 영국 통계를 위한 전략」, 「영국 통계기관 사업계획서」와 같은 연구보고서를 통해 데이터, 정보, 지식을 바탕으로 한 행정 또는 정책의 개요 및 추진방식 제시

○ 데이터기반행정의 주요 과제

-데이터 통합관리: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범정부 차원에서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관리체계(예: 데이터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) 마련

-데이터 분석・활용: 국민체감과제, 범정부 정책과제 등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, 정책과정(수립, 집행, 평가 등) 전반에 걸쳐 데이터 활용 촉진

○ 클라우드 컴퓨팅 계획의 주요 과제

-공공부문 기관의 모든 정보시스템(전체 83%)을 클라우드로 전환・통합하여 데이터 활용성・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추진(공공부문 기관 클라우드센터 전환율 목표를 2021년 20%, 2022년 50%, 2025년 100%로 설정)

○ 클라우드전환에 따른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관련 기대 효과

-(데이터 통합관리 측면) 각급 국가기관의 전산실 폐지 및 클라우드센터로의 이동・통합으로 인해 데이터 통합관리(예: 보유 데이터의 신속한 공유)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

-(데이터 분석・활용 측면)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전면 전환에 따라 데이터 분석・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및 개인・조직・기관 차원의 노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

○ 클라우드-협업-데이터기반행정 관계에 대한 상반된 시각

-기술 중심적 시각: 클라우드전면 전환은 데이터 관리를 효율화하여 협업을 증진하고, 이는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분석・활용의 대상과 범위를 확장시켜 데이터 분석・활용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(클라우드↑ → 데이터 통합관리↑ → 협업↑ → 데이터 분석・활용↑)

-사회 중심적 시각: 먼저 개인・조직 차원에서 데이터 분석・활용이 활성화되어야 개인・조직・기관 간 협업이 활성화되고, 이는 클라우드전면 전환을 촉진함으로써 데이터 관리의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(데이터 분석・활용↑ → 협업↑ → 클라우드↑ → 데이터 통합관리↑)

추천0

첨부파일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